개방경제 하에서의 총수요를 알아보기 위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의 IS-LM 모형, 즉 먼델-플레밍 모형을 도입한다. IS : Y = C+I+G+NX(e)LM : M/P = L(Y,r)Y-e 평면에서 IS는 우하향하게 나타난다. LM은 실질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수직으로 나타난다. 이제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각각에서 정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1. 변동환율제도1) 확장적 재정정책IS곡선이 우측으로 확장이동하나 실질환율이 상상하면서 국민소득은 최초와 동일해진다.즉, 재정정책은 완전구축된다.G 증가로 Y가 증가하면 화폐수요가 증가하여 이자율이 상승하고 자본이 유입된다. 그 과정에서 (명목)환율이 상승하고 (P, P* 모두 고정이므로 실질환율도 상승하여) 순수출이 감소하여 Y 증가를 완전 상쇄한다...
1. 총수요 관리정책 시 IS-LM 곡선의 변화2. AD 곡선의 도출3. 대공황 1. 총수요 관리정책 시 IS-LM 곡선의 변화총수요 관리정책에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있으며 재정정책은 다시 정부지출 혹은 조세를 조정하는 정책으로 나뉜다.1)△G > 0IS곡선이 승수효과(1/(1-MPC))만큼 우측으로 이동하나 구축효과로 인해 이자율이 상승하여 최종 국민소득은 그보다는 적게 늘어난다.구축효과 : 정부지출 증가로 소득이 증가하면 화폐수요가 증가하여 이자율이 증가하고 투자가 감소하여 국민소득이 감소하는 효과 2)△T 0LM 곡선이 하방이동하여 이자율이 하락한 결과..
1. 반복게임의 의미동일한 상대방과 여러 번에 걸쳐 되풀이해서 주어진 일회게임 G에 참여하는 상황일회게임과의 중요한 차이 : 현재의 보수뿐만 아니라 미래에 얻게 될 보수에도 관심을 갖게 됨.주로, 지금 당장 상대방을 속여서 얻을 수 있는 이득과 배신이 초래하는 보복으로 인한 손실을 비교하여야 함. 2. 반복게임의 종류유한반복게임 : 게임이 끝나는 마지막 기인 T가 유한한 상황(T가 공통지식인 경우)무한반복게임 : 주어진 일회게임 G가 끝없이 반복되는 상황(T가 공통지식이 아닌 경우)반복게임에서의 전략 : 첫 기에 선택하고자 계획된 행동 및 둘째 기 이후에 과거 역사(history)에 대응하여 계획된 행동 3. 반복게임의 보수반복게임의 보수 = 목적함수 = 현재와 미래의 각 기에 받을 보수를 현재가치로 환..
10장. 경기변동 입문경기변동이란 '가격 경직성'으로 인해 '총수요와 총공급 간 괴리'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총수요가 총공급보다 많으면 호황이라 하고 반대의 경우 불황이라 한다.가격경직성의 원인으로는 다양한 의견이 있으나 케인즈학파의 대표적인 견해는 메뉴비용, 즉 가격 조정 시 수반되는 비용이 지적된다. 경기변동의 원인이 총수요에 있을 때 총수요 교란이라 한다. 총수요의 구성항목인 C, I, G, NX 등의 변동이 그 원인이 된다.경기변동의 원인이 총공급에 있을 때 총공급 교란이라 한다.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유가 폭등, 기술 진보 등이 그 원인이 된다. 경기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제안정화 정책을 실시한다. 경기변동이 잦을 경우 경제에 불확실성(uncertainty)이 높아져 총수요를 감소시킬 수 ..
1. 자본 및 재화의 국제적 이동1)생산 측면폐쇄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은 다음과 같다.Y = C+I+G그러나, 개방경제에서 국민소득 항등식을 고려할 경우 소비와 투자 및 정부지출에서 외국의 재화와 서비스에 지출하는 부분(Q)은 빼고 외국에서 지출하는 우리나라의 재화와 서비스(X)는 더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개방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을 도출하면,Y = C+I+G+(X-Q) 혹은,Y = C+I+G+NX (여기서 NX = X-Q = 순수출, 무역수지) 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해보자.Y-(C+I+G) = NX결국, 생산량이 국내지출을 초과할 경우, 그 차이를 수출하므로 순수출은 양수가 되며, 국내지출에 못 미칠 경우 그 차리를 수입하므로 순수출은 음수가 된다. 2)자본 측면개방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을 다음과 ..
1. 소 개실업은 사회의 문제일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가장 큰 문제 중에 하나다. 실업은 사회의 효율적 자원배분을 어렵게 하며 실업자는 개인의 생활수준이 하락하고 자아실현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것이 주요한 정치적 문제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실업은 왜 존재하는가? 무엇이 실업률을 결정하는가? 2. 실업률의 정의경제활동가능인구(P) =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인구(L) = 취업자 + 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P-L)취업자(E)실업자(U) 실업률은 U/L로 정의된다. 한 편, 실망 실업자가 실업률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해 나타난 지표는 고용률이다.고용률은 E/P로 정의된다. 3. 자연실업률의 도출자유시장경제하에서 아무리 경제가 균형이더라도 실업은 존재한다. ..